티스토리 뷰
목차
💰 1. 참전 명예수당 & 생계지원
- 참전명예수당
- 만 65세 이상 참전유공자에게 매월 약 45만 원 지급
-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별도 추가수당(평균 62만 원, 최고 60만 원 수준)을 지급
- 생계지원금
- 만 80세 이상, 생활이 어려운 고령 참전용사에게 월 10만 원 추가 지원
- 소득·재산 조사 후 신청 가능
🏥 2. 의료 지원
- 보훈병원 및 위탁병원
- 진료비와 약제비의 90% 감면
- 일부는 100% 무료 진료도 가능하며, 치과·한방 포함
- 보건소 및 일반 의료급여
- 보건소 이용 시 진료비 일부 또는 전액 감면
- 생계 곤란 시 1종 의료급여 대상 등록 가능
- 보철구 지원
- 지팡이, 의수족, 보청기, 휠체어, 보철용 차량 등 실생활 보조기구 지원 가능
📈 3. 연금 및 대부제도
- 생활조정수당
- 일정 소득 이하일 경우, 월 약 24만~37만 원 지급
- 대상자는 보훈청 심사를 거쳐 결정
- 대부지원 (생활안정자금)
- 주택 구입·수리·전세, 학자금, 의료비 등 목적 자금에 대해
연 3~4% 저금리 융자 제공 - 상환은 장기 분할 가능
- 주택 구입·수리·전세, 학자금, 의료비 등 목적 자금에 대해
⚰️ 4. 장례·안장 지원
- 장제보조금
- 참전유공자 사망 시 유족에게 20만 원 지급 (단, 국립묘지 안장 시 제외)
- 국립묘지 안장
- 본인 또는 배우자 모두 국립현충원·호국원 등 안장 가능
- 신청 시 안장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
🎓 5. 가족 혜택
- 교육지원
- 자녀 중·고등학교 및 대학교 수업료 면제
- 대학생 자녀에게 학습보조비 지급
- 취업지원
- 자녀가 공무원 시험 응시 시 10% 또는 5% 가점
- 직업훈련 기회 제공 및 특별채용 기회 지원
📝 요약 정리표
항목주요 내용
수당 | 명예수당(45만 원), 생계지원금(10만 원), 생활조정수당(24~37만 원) |
의료 | 진료비 90% 감면, 보철구 지원, 의료급여 가능 |
금융 | 저금리 융자 (주택·의료·학자금 등) |
장례 | 장제보조비 20만 원, 국립묘지 안장 가능 |
가족 | 교육비 면제, 취업 가점 및 특별채용 |
이 모든 혜택은 주소지 관할 보훈청 또는 시·군·구청 보훈담당부서에서 신청 가능하며, 필요 서류와 심사 기준은 각 항목마다 조금씩 달라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