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대중교통은 모두의 발이지만 특히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에게는 지하철 이용 요금과 할인 제도가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. 어린이 요금 기준과 무료 이용 가능 연령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, 불필요한 요금 지출을 막고 더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는 서울 및 수도권 기준으로 지하철 어린이 할인 정책, 나이별 요금 기준, 무료 이용 나이를 체계적으로 안내해드립니다.
1. 지하철 어린이 요금 기준
✅ 연령별 요금 구분
- 영유아 (만 6세 미만) – 무료 탑승 (보호자 동반 시)
- 어린이 (만 6세 이상 ~ 만 12세 이하) – 어린이 할인 요금 적용
- 청소년 (만 13세 이상 ~ 만 18세 이하) – 청소년 요금 적용 (청소년 교통카드 필요)
- 성인 (만 19세 이상) – 성인 요금 적용
※ 나이 기준은 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 판단합니다.
✅ 어린이 요금 적용 방식
- 교통카드 이용 시 자동 할인 (티머니, 캐시비 등)
- 종이 승차권 구매 시 어린이용 별도 발권 필요
- 정기권 및 모바일 교통카드도 할인 적용 가능
2. 지하철 어린이 요금 상세 (2025년 기준)
✅ 서울 지하철 (1~9호선 기준)
- 어린이 기본요금 (10km 이내): 450원 (교통카드 기준)
- 추가요금: 5km 초과 시마다 50원 추가 부과
- 지하철 환승 할인: 버스, 다른 노선 간 환승 시 추가요금 최소화
✅ 수도권 광역전철 (코레일 노선)
- 어린이 요금 구조는 동일하나, 거리 비례 추가 요금이 일부 다를 수 있음
- 광역구간(수도권 외곽) 이동 시 추가운임 부과
✅ 교통카드 종류 및 혜택
- 어린이용 티머니/캐시비 교통카드 필수 등록
- 온라인 또는 지하철 역사 무인등록기에서 카드 등록 완료해야 할인 적용
- 등록 미완료 시 성인요금 부과 주의
※ 어린이 교통카드는 분실 시 재발급 필요하며, 보호자 명의로 신청 가능합니다.
3. 지하철 어린이 무료 이용 나이
✅ 무료 이용 대상
- 만 6세 미만(0세 ~ 만 5세) 어린이
- 보호자(성인) 1명당 만 6세 미만 어린이 3명까지 무료 탑승 가능
- 만 6세 생일이 지난 달부터 어린이 요금 적용
✅ 이용 방법
- 별도의 승차권 없이 보호자와 함께 개찰구 통과
- 혼자 승차하는 경우 별도 어린이용 교통카드 필요 (만 6세 미만 단독 탑승은 대부분 금지)
✅ 추가 주의사항
- 단체 이동(유치원, 어린이집 등) 시 지하철공사에 사전 통보 필요
- 성인 승차권으로 어린이 단독 승차 시 요금 환불 불가
TIP: 어린이 무료 탑승 대상이라도 혼자 개찰구 통과할 수 없으며, 항상 보호자 동반을 원칙으로 합니다.
4. 어린이 할인 교통카드 등록 방법
✅ 등록 절차
- 어린이용 교통카드 구매 (편의점, 온라인몰, 역사 판매점)
- 지하철 역사 내 무인등록기 방문
- 본인(어린이) 명의 주민등록등본 지참
- 무인등록기 안내에 따라 등록 (보호자 인증 필요 시 보호자 휴대폰 인증)
✅ 유의사항
- 등록 완료 후부터 어린이 요금 적용
- 등록 전까지는 성인요금 부과될 수 있음
- 교통카드 분실 시 다시 등록해야 함
5. 수도권 외 지역 지하철 어린이 요금 안내
✅ 부산지하철
- 어린이 기본요금: 450원
- 만 6세 미만 무료 탑승 (보호자 동반 시)
✅ 대구도시철도
- 어린이 기본요금: 450원
- 교통카드 사용 시 추가 할인
✅ 광주도시철도
- 어린이 기본요금: 450원
- 무료 나이 및 할인 적용 기준 서울과 유사
✅ 대전도시철도
- 어린이 기본요금: 450원
- 환승 할인 제도 운영
※ 모든 지역에서 만 6세 미만 어린이는 무료 탑승 원칙입니다.
📌 결론: 어린이 지하철 요금 정리
- ✏️ 만 6세 미만은 무료 탑승 (성인 보호자 동반 시)
- 🧒 만 6세 이상 ~ 만 12세 이하는 어린이 요금 할인 적용
- 📄 교통카드 등록 완료해야 할인 적용 가능
- 🚌 환승 할인 가능 – 버스, 지하철 연계 이용 시 유리
- 🚸 어린이 단독 승차는 만 6세 이상부터 가능
✅ 지금 바로 어린이 교통카드를 준비하고, 지하철을 더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!
반응형